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도구와 치료훈련을 통하여, 최대한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치료의 한 분야다. 일상 생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식사, 옷 입고 벗기, 이동하기, 개인 위생관리, 옷치장 등 생활 전반에 대한 훈련을 한다. 그리고 기억력, 주위환경에 대한 이해력, 사고력이 떨어진 것에 대해, 평가하고 치료를 한다.
또한 환자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용구를 직접 제작하여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집안 일 연습, 취미생활 등을 통해 퇴원 후에도 가정생활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드린다.
작업치료 내용
- 환자와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를 준비함.
- 자기 자신을 관리하는 기술과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기술들을 개발.
- 주변 환경과 상호관계를 맺는데 필요한 직업에 대한 준비기술, 또는 놀이기술 및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수행능력의 향상.
- 감각-운동기능, 인지 및 지각기능, 정신 사회적인 문제들의 회복.
- 적절한 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환자, 가족, 보호자에 대한 교육.
- 보조도구 개발 및 적응 훈련.
- 주거환경의 평가와 적절한 제안을 통하여 환자의 안전과 기능적인 향상을 유도.
목표
- 건강과 더불어 삶의 질을 향상.
- 장애로 인한 불편함이나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회복, 유지, 강화.
- 자기 존중감(self-esteem) 부여.
- 사회참여를 가능케.
-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케.
- 자신의 삶에 적응하고 자신의 역할 회복.
- 주거환경의 평가와 적절한 제안을 통하여 환자의 안전과 기능적인 향상을 유도.
적응중
- 뇌졸중(중풍)환자
- 척수손상으로 인한 상지 및 하지 마비환자
- 뇌손상환자, 교통사고, 파킨슨, 뇌종양, 외상과 그 후유증
- 말초신경 손상환자
- 상지 절단환자의 기능훈련 및 보조기 기능 훈련
작업치료방법
- 신체기능 증진훈련 (운동-신경-감각)
적절한 치료도구나 목적을 지향하는 활동을 제공하여 관절 움직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 시키고, 균형 능력이나 자세 조절 능력을 정상화 시킨다.
- 인지 및 지각기술 훈련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 과정에 기초한 재활 치료 방법을 통해 인지-지각 능력이 저하된 환자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완하도록 한다.
- 정신사회적 적응훈련
자신의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일상생활동작 훈련
자기관리(먹기, 위생관리, 옷입기 등), 대소변조절, 이동방법, 휠체어사용, 의사소통능력, 여가생활, 사회상호능력 등을 평가하고 저하된 능력을 향상시킨다.
- 연하장애 치료
근골격계 장애나 신경계 장애로 인해 식사 조절을 하지 못하거나 식사가 곤란한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