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도수
도수치료란, 근골격계 많은 질환이나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키고 빠른 재활을 위해 도수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직접 통증이나 병의 원인을 검진하고 치료하는 각 부위별 특수 치료(Manual Therapy)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요통

- 우리나라 성인의 약 80%이상이 허리가 아픈 경험을 했을 정도로 요통은 대단히 흔한 것입니다. 그러나 너무나 흔한 병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방심으로 인하여 불행한 병으로 키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반적인 원인
대부분의 요통은 심한 손상이나 질병에 의한 것이 아니라 허리를 삐거나 긴장, 가벼운 상해로 인한 것입니다. 의학적으로는 단순 요통이라고 부르는데, 이처럼 척추에 스트레스와 긴장을 주는 주된 원인으로는 다음
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① 나쁜 자세 ② 스트레스 ③ 운동부족과 늘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 ④ 구부려서 일하는 경우 ⑤ 허리에 좋지 않은 의자에 앉음 ⑥ 적당치 못한 매트리스에서의 수면
- 치료를 요하는 허리 질환
디스크 문제 : 주로 디스크에 상처가 났거나 돌출되어 척수에서 나온 민감한 신경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좌골 신경통 : 다리의 좌골신경을 따라 통증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디스크, 혈액순환 악화, 골반 내 장기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후관절 문제 : 척추의 관절은 척추 앞부분의 넓은 관절인 디스크 관절과 뒷부분 양쪽에 있는 후관절(facet join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후관절이 퇴행되면 마찰로 인해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요통의 원인이 신경성(척수의 감염이나 종양)인 경우는 보행에 의해 통증이 악화됩니다. 눕거나 앉거나 구부리거나 쭈그려 앉는 것으로 증상이 경감되고, 일부에서는 오르막을 오를 때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혈관성(대동맥이나 장골동맥의 폐쇄)인 환자는 오르막을 오를 때 통증이 더 심해집니다. 신경성 환자들 중 일부는 보행하는 데 제한이 있으나 자전거는 거리 제한 없이 탈 수 있기도 합니다. 즉 구부리는 자세에 의해 증상이 덜해지는 것입니다.
오십견

- 오십견은 동통성 견구축증, 유착성 관절낭염, 관절 주위염, 관절낭 주위염, 견갑-상완관절 주이염 등으로 불리며 특별한 이유 없이 관절운동의 제한이 있고, 어깨관절과 견갑 관절에 통증이 있습니다.
증상이 저절로 소실되어 통증이 없다가 다시 재발되며, 계속 진행되며 회전근개(回轉筋蓋), 상완이두근건(上腕二頭筋腱) 및 주위 조직을 침범하는 퇴행성 변화의 결과로서 견관절의 심한 운동 장애와 통증을 일으키는 동통성 견구축증으로 동결견(凍結肩)이라 부르는 오십견이 됩니다.
- 견관절주위염은 관절낭과 관절주위의 경부조직에 하나의 퇴행성, 염증성 변화가 생기는 질병입니다.
오십견은 50세 전후에 많이 발생하여 '오십견'이라 부르며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생기고, 견관절 통증과 활동의 장애가 임상적 특징으로 한의학의 '견배통'의 범주에 속합니다.
특별한 원인보다는 사용하지 않아서 대부분 발생한다고 보며, 근육파열이나 염증, 수술 후 어깨를 무리하게 고정했을 때 잘 나타나는 것으로 봅니다. 심한 환자의 통증은 팔을 올리면 심하고 서서히 내려 놓으면 가라앉게 됩니다. 급성기를 지나면 저절로 회복이 되기도 하지만 어느 정도의 운동제한과 장애는 남으로 섬유화가 진행되고 이차적인 관절염과 근육의 구축, 골다공증,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근위축은 회복을 어렵게 합니다.
무릎통증

- 인체의 무릎관절을 개괄해 보자면 대퇴와 하퇴의 뼈가 있고 그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연골조직과 주변을 지지해 주는 인대와 근육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무릎이 아픈 경우가 많은데 이는 주로 뼈와 뼈 사이에서 관절 운동시에 완충작용을 연골조직이 닳아서 뼈의 마찰이 가중되어서 오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이를 소위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절을 쓰면 쓸수록 아픈 경우가 많다.
무릎 통증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다. 이유는 여자의 생활 습관에서 온다. 쪼그려 않아서 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고, 지나친 가사노동, 비만(비만도 임신과마 찬가지로 체중의 중량이 무겁다), 임신과 출산, 여성호르몬 감소, 조기치료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갑자기 일어서면 무릎이 아프며 펴지지 않는다던가, 계단을 오르 내릴때 몹시 아프고, 다리를 피면 통증이 없어진다.
무릎 연골이 찢어지면 무릎에서 소리가 나면서 아프고, 굽혔다 폈다가 잘 안되고, 무릎 뼈 사이를(허벅지와 장단지 중간지점) 만지면 아프고, 계단을 내려올 때 휘청거려진다.
물렁뼈(연골) 손상으로 인해 무릎이 펴지지 않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등 부작용이 있을 때 오래 방치하면 무릎뼈의 이음새 부분이 마모되는 퇴행성 관절염 등의 증세를 보일 수 있다.